
로딩중입니다...
평당가율위치는 동네 아파트 들의 가격변화를 볼 수 있는 지표 입니다.
조금 어렵습니다. (Top5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)
예를 들어 특정 동네에 아파트들을 평당가 높은 군으로 A급, B급, C급으로 나눕니다.
이들 아파트군들의 평균평당가를 각각 1,500, 1,000, 500 이라고 하고 , 전체 평균 평당가를 1,000이라 하면
평당가율 평당가율 현재 위치는 아래와 같습니다.
아파트군 | 평균평당가 | 전체평균 | 평당가율 위치 | 공식 |
---|---|---|---|---|
A급 | 1,500 | 1,000 | 150% | =1,500/1,000 |
B급 | 1,000 | 100% | =1,000/1,000 | |
C급 | 500 | 50% | =500/1,000 |
이때 동네에서 가격 변화 흐름은
보통 A급 상승 -> B급 상승 -> C급 상승 순으로 변화거나
반대로 C급 상승 -> B급 상승 -> A급 상승 순으로 변화됩니다.
만약 전자처럼 A급이 먼저 상승되어 A급만 1,500 에서 2,000원으로 상승되었다고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아파트군 | 평균평당가 | 전체평균 | 평당가율 위치 | 공식 |
---|---|---|---|---|
A급 | 2,000 | 1,167 | 171.4% | =2,000/1,167 |
B급 | 1,000 | 85.7% | =1,000/1,167 | |
C급 | 500 | 42.8% | =500/1,167 |
이때 B급이나 C급은 동네에서 입지, 신규아파트 등의 다른 변화가 없다면
원래 자기 가격수준으로 회복할 가능성이 높겠죠.
즉 원래 자기 수준인 100%로 즉 1167로 말이죠.
즉 “평당가율 위치”는 해당 아파트의 동네 평당가율 위치 변화 흐름 입니다.
예를 들어 아래 표와 같이 A급 아파트의 년도별로 동네 평당가율 현재위치 변화를 보시면
전체 평균이 169%이니 그보다 낮은 건 높게 변화되고, 높은 건 낮게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는
가정하에 가격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 입니다.
년도 | 2010 | 2011 | 2012 | 2013 | 2014 | 2015 | 전체평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평당가율 위치 | 150% | 171.4% | 200% | 180% | 150% | 160% | 169% |